클라우드 분야가 이제는 트렌드를 넘어 IT인프라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는 것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그러나, 관련 업계에서는 필요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이구동성으로 이야기를 …
»아마존웹서비스(AWS), 한국에 리전 설립…해외 클라우드 사업자 중 처음
드디어 아마존웹서비스가 한국에 상륙한다. 해외 클라우드 서비스 사업자로는 처음으로 한국에 전진 기지를 마련하고 서비스에 들어간다. 마이크로소프트 애저(Microsoft azure)나 IBM의 소프트레이어는 국내 리전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
»빅데이터 DW엔진 아파치 타조 0.11.0 공개
“타조는 이미 다양한 프로덕션 환경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하고 있어 기술 성숙도 측면에서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으로 성장했다. 이번 0.11.0 릴리즈를 계기로 타조의 엔터프라이즈 적용이더욱 탄력을 받을 것이다.” 권영길 …
»FedRAMP(미국 클라우드보안인증체계)란?
정부나 공공기관에서 클라우드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보안성에 대한 부분이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누구나 아는 내용일 것입니다. 공공부분에서의 클라우드 도입사례를 거론할 때면 미국의 페드램프 제도를 많이 언급하십니다. …
»클라우드 발전법의 이해 3
이번에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역기능 발생시 클라우드 발전법에서는 어떻게 대처하라는 조항들을 살펴보겠습니다. 국내의 경우 아직은 클라우드 도입단계인 시장 상황이지만 향후 클라우드 발전법 시행 및 관련 …
»클라우드 발전법의 이해 2
클라우드 발전법 제정의 목적중 하나인 “공공부문에서의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촉진” 입니다. 클라우드 도입이 가능한 분야를 파악하여 솔선하여 도입함으로써 클라우드 시장에 신뢰의 시그널을 주겠다는 것이 본 법의 …
»“클라우드 발전법”의 이해 1
지난 2015년 3월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오는 9월부터 시행을 앞두고 있는 “클라우드 발전법”에 대해 이해를 돕고자 몇자 적어봅니다. 하나의 기술을 중심으로 법으로 만들어 시행하는 것은 …
»클라우드 덕에 쓸만해진 스마트 홈 플랫폼
스마트 홈 시장은 과연 언제 열릴까요? 한 때 유비쿼터스란 단어가 유행처럼 번저가던 때가 있었습니다. 당시 유비쿼터스 시대의 대표 분야 중 하나로 스마트 홈에 대한 다양한 …
»가상화 그 다음은 필요한 것은 ‘지능적 추상화’
본 컬럼은 팔콘스토어 김광정 이사의 기고 문입니다. 기업의 IT 기술 도입과 활용 방식이 급변하고 있습니다. 기업들은 과거 방식보다 더 유연하고, 모바일 중심적이고, 서비스 지향적인 소프트웨어 …
»달라진 돈 쓰기 방식
기업의 IT 투자 방식이 바뀌고 있다는 말이 요즘들어 부쩍 실감납니다. 인프라, 플랫폼, 소프트웨어 모든 부분에 걸쳐 신규 투자가 진행될 때 직접 구축과 함께 써드파티 서비스가 …
»클라우드 LAB – 연구실도 이제는 빌려 쓰는 시대
2010년 창업한 미국의 한 스타트업을 하나 소개합니다. Emerald Therapeutics라는 업체인데요, 이 업체는 바이오 관련 연구와 실험을 위한 연구 시설과 장비를 클라우드 상에서 간단히 빌려 쓸 …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Docker에 주목하는 이유
최근 클라우드 사업자들이 Docker를 자사 서비스 포트폴리오에 적극적으로 편입시키고 있습니다. 아마존이 지난 4월 AWS Elastic Beanstalk을 통해 정식 지원을 발표하더니 구글도 최근 Docker 프리뷰 서비스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