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행안부와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 업무협약’ 체결

[테크수다 기자 도안구 eyeball@techsuda.com] 카카오, AI 에이전트로 공공서비스 혁신 나선다. 카카오(대표 정신아)가 행정안전부와 손잡고 국민이 더 쉽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 에이전트 플랫폼을 도입한다.

유용하 카카오 AI에이전트 플랫폼 성과리더는 “이번 협약은 국민의 일상 속 공공서비스 접근 방식을 근본적으로 혁신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공공기관과 함께 AI 에이전트 생태계를 구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카카오톡 ‘AI 국민비서(가칭)’ 시범 서비스 연내 구현 목표… AI 에이전트로 공공서비스 편의 증진 도모

- 자체 개발 AI 모델 카나나 및 AI 에이전트 플랫폼 통해 공공서비스 연동

- 유해 콘텐츠 필터링 위해 ‘카나나 세이프가드’ 적용… AI 안전성 강화

카카오와 행정안전부는 27일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측은 올해 안에 카카오톡 안에서 ‘AI 국민비서(가칭)’ 시범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이용자는 별도의 앱 설치나 로그인 없이 카카오톡 대화창에서 전자증명서 발급·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 등 공공서비스를 바로 이용할 수 있다.

카카오는 자체 개발한 AI 모델 ‘카나나(Kanana)’를 적용해 사용자의 문맥과 의도를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단순 질의응답을 넘어 행동 가능한 응답과 서비스 실행까지 지원한다. 또한 MCP(Model Context Protocol)과 ‘AI 에이전트 빌더’를 통해 공공·지역·지식 분야별 맞춤형 AI 에이전트를 제작해 이용자의 목적에 맞는 서비스를 자동으로 실행하도록 한다.

AI가 윤리적 가치를 위반하는 출력을 사전에 차단하는 ‘카나나 세이프가드(Kanana Safeguard)’도 적용해, 신뢰성과 책임성을 강화한다.

아래는 오픈AI ChatGPT-5 로 작성한 영어 기사입니다. 원문을 꼭 확인해주세요.

Kakao Partners with Ministry to Launch AI Agent for Public Services

‘AI Citizen Assistant’ pilot service to debut on KakaoTalk within this year

Kakao Corp. (CEO Jin-shin A) has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with South Korea’s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to enhance citizens’ access to public services through its AI Agent platform.

Under the agreement, Kakao and the ministry plan to launch a pilot service called “AI Citizen Assistant” within KakaoTalk later this year. The service will allow users to access various government services—such as issuing and submitting electronic certificates or booking public facilities—directly through chat, without downloading a separate app or logging in again.

Kakao will integrate APIs from public institutions with its own AI technologies to power the new assistant. The company’s proprietary AI model, “Kanana,” will interpret users’ intent and context naturally, enabling actionable responses beyond simple information retrieval.

The service will also leverage Kakao’s AI Agent Builder and Model Context Protocol (MCP) to create AI agents specialized in different domains such as public, regional, and knowledge services—automatically executing tasks based on user goals.

To ensure reliability and ethical compliance, Kakao will incorporate its AI guardrail model, “Kanana Safeguard,” designe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harmful or unethical content.

“You Yonga, Head of Kakao’s AI Agent Platform Performance Division, said the partnership will ‘fundamentally transform how citizens access public services’ and help build an AI agent ecosystem in collaboration with public institutions.”

[테크수다 기자 도안구 eyeball@techsud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