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 ‘AI 인프라 개발자’로 진화 선언…글로벌 AI 허브 비전 제시

[테크수다 기자 도안구 eyeball@techsuda.com] SK텔레콤이 ‘SK AI 서밋 2025’에서 AI 인프라 구축 로드맵을 공개하며 국가 대표 AI 사업자로서의 입지를 강화했다. 정재헌 신임 SK텔레콤 CEO는 이날 기조연설에서 울산을 포함한 전국 AI 데이터센터(DC) 확장 계획과 함께,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한 ‘AI Infra의 Now & Next’ 전략을 발표했다.

정재헌 SKT CEO가 3일 열린 ‘SK AI Summit 2025’에서 발표하고 있는 모습

AI 인프라 확장과 지역 허브 전략

SK텔레콤은 울산 AI 데이터센터를 1GW 이상으로 확장하고, 수도권·경남·서남권을 잇는 AI DC 삼각 거점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 프로젝트는 AWS 등 글로벌 사업자와 협력해 한국을 ‘아시아 최대 AI 허브’로 육성하는 것이 목표다.

특히 SK그룹이 10월에 OpenAI와 체결한 양해각서(MOU)를 통해 서남권 AI DC 설립 기반을 마련한 점이 주목된다. 정재헌 CEO는 “울산 AI DC 공개 이후 글로벌 기업들이 SKT의 개발 역량에 주목하고 있다”며 “대한민국이 아시아 AI 인프라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은 에너지 효율형 AI 데이터센터 기술을 앞세워 해외 시장 진출에도 나선다. SK이노베이션과의 협력을 통해 베트남 LNG 발전소 인근에 냉열 에너지 기반의 AI DC를 구축할 계획이며,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 등으로 확장할 예정이다.

이 사업은 ‘에너지+AI 융합형 데이터센터 모델’을 수출하는 첫 시도로, 그룹 내 다양한 관계사 역량을 통합한 글로벌 확장 전략의 일환이다.

AWS·엔비디아와 동맹… 에지 AI와 제조 AI로 확장

정 CEO는 “AI 서비스 확산으로 통신 인프라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다”며 통신사가 가진 전국 네트워크를 활용한 ‘에지 AI’ 전략을 강조했다. SKT는 AWS와 R&D 협력을 맺어 에지 서버 단의 초저지연 AI 서비스를 테스트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상용화를 추진한다.

또한 엔비디아와는 ‘AI-RAN’ 공동연구 MOU를 체결했다. AI-RAN은 AI가 설계단계부터 반영된 지능형 기지국 네트워크로, 제조 AI 확산의 기반 인프라로 주목받는다.

이와 별도로 SKT는 엔비디아의 RTX PRO 6000 GPU 2,000장을 도입해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중이다. 이는 SK하이닉스 등 그룹 제조사의 디지털 트윈과 로봇 AI 적용을 촉진하는 핵심 인프라가 될 예정이다.

SK텔레콤은 단순 인프라 운영을 넘어 ‘AI DC Developer’로의 전환을 선언했다. 설계·구축·운영 전 과정을 통합 관리하는 사업 구조로 진화해, 독자 솔루션 패키지를 상용화한다는 계획이다.

이 패키지에는 ▲Out-rack 솔루션(냉각·전력·보안 관리) ▲Clustering 솔루션(서버 간 최적화) ▲In-rack 솔루션(내부 효율) ▲Energy 솔루션(열관리 최적화) 등이 포함된다. SKT는 이를 통해 비용 효율적이고 신속한 AI 인프라 구축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AI G3 도약의 첨병

SK텔레콤은 지난 1년간 ▲AWS와 울산 AI DC 협력 ▲B200 기반 국내 최대 GPU 클러스터 ‘해인’ 구축 ▲과기부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선정 ▲에이닷 가입자 1천만 명 돌파 등의 성과를 거뒀다.

정재헌 CEO는 “AI 인프라는 기업과 국가 경쟁력의 핵심 동력”이라며 “SKT는 대한민국 대표 AI 사업자로서 정부와 함께 AI G3 도약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테크수다 기자 도안구 eyeball@techsuda.com]

아래 영어 기사는 위 기사를 바탕으로 ChatGPT-5로 작성했습니다. 원문을 꼭 확인해주세요.

SK Telecom Unveils AI Infrastructure Roadmap, Aims to Become “AI DC Developer”

SEOUL, Nov. 3, 2025 — SK Telecom unveiled its AI infrastructure roadmap at the “SK AI Summit 2025,” pledging to lead Korea’s evolution as a national AI powerhouse.
CEO Jaehun Jung presented the company’s “AI Infra Now & Next” strategy, outlining plans for large-scale AI data center (AI DC) expansion, global partnerships, and a shift toward becoming an integrated AI infrastructure developer.

Expanding AI Hubs Nationwide

SK Telecom plans to expand its Ulsan AI Data Center to over 1 gigawatt capacity and build a three-region AI hub network across the Seoul metropolitan, Gyeongnam, and Southwest regions.
By collaborating with global partners such as AWS, the company aims to make Korea Asia’s largest AI hub.

The move follows an MOU with OpenAI signed in October to establish an AI DC in Southwest Korea. Jung said the initiative marks a milestone in multi-party collaboration among government, local authorities, and global AI leaders.
“Global companies are now paying attention to SKT’s AI DC capabilities,” Jung said. “We’re laying the foundation for Korea to become Asia’s AI infrastructure hub.”

Energy-Specialized AI DC Expands to Vietnam

SK Telecom will leverage energy-optimized AI DC technology to enter the Southeast Asian market with SK Group affiliates.
In Vietnam, the company plans to build a cooling-energy data center powered by LNG plants in partnership with SK Innovation, securing both stable electricity and thermal-energy efficiency.
The model will later expand to Malaysia and Singapore, forming a blueprint for AI-plus-energy convergence exports.

Alliances with AWS and NVIDIA: Edge AI and Manufacturing AI

Jung emphasized that the growing number of AI services is redefining the role of telecom networks.
By using its nationwide network, SKT aims to bridge on-device and data center AI through Edge AI—processing data at base stations and edge servers for ultra-low latency and high security.

SKT has formed an R&D partnership with AWS to jointly develop and test Edge AI services.
In parallel, SKT signed an MOU with NVIDIA and research partners to develop AI-RAN, an intelligent radio access network that integrates AI from the design stage.
The company is also building a “Manufacturing AI Cloud” using 2,000 NVIDIA RTX PRO 6000 GPUs, designed to accelerate digital twins and robot-AI applications for SK Hynix and other group manufacturers.

Becoming an “AI DC Developer”

SK Telecom declared its evolution into a full AI Data Center Developer, managing every stage from design and construction to operation.
The company plans to commercialize a modular AI DC solution package featuring:

Out-rack (cooling, power, security),

Clustering (server optimization),

In-rack (internal efficiency),

Energy (power and heat management).

This integrated model will enable faster, more cost-efficient AI infrastructure deployment worldwide.

Toward Korea’s AI G3 Ambition

Over the past year, SK Telecom achieved milestones including the AWS Ulsan AI DC partnership, deployment of “Haein,” Korea’s largest GPU cluster based on NVIDIA’s B200, and the AI Foundation Model project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Its A. (A-Dot) service also surpassed 10 million subscribers.

“AI infrastructure is the core engin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Jung said.
“As Korea’s leading AI company, SK Telecom will work with the government to achieve the nation’s AI G3 vision.”

[Techsuda Toh Aunku eyeball@techsuda.com]

Newsletter
디지털 시대, 새로운 정보를 받아보세요!